분리배출표시 가이드북 및 분리수거 방법 총정리 2025 (+ 내손안의분리배출)
재활용품을 분리수거하다 보면 항상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도 얼마 전 우유팩을 버리다 종이인지 일반쓰레기인지 고민하게 되었고, 그때 처음으로 '분리배출표시 가이드북'과 '내손안의분리배출' 앱을 접하게 되었습니다.
이후 분리수거가 훨씬 수월해졌고, 쓸데없는 스트레스도 많이 줄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달라진 분리배출표시 제도와 함께 정확하고 실천 가능한 분리수거 방법, 그리고 ‘내손안의분리배출’ 앱 활용법까지 자세히 안내드리겠습니다.
우선 아래에서 내손안의분리배출 앱을 다운로드 하셔서 거주 중이신 지역의 분리배출 방법을 읽고오세요!
지역별 분리배출방법 바로가기 (+ 내손안의분리배출)
지역별 분리배출방법 바로가기 (+ 내손안의분리배출) 지역별 분리배출 방법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
info4.informativeinformation.com
함께 보면 좋은 글
2025년부터 바뀐 분리배출표시 기준
환경부는 2025년부터 소비자가 분리수거를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분리배출표시 제도를 전면 개편했습니다.
기존의 '재질만 표시하는 삼각형'에서 벗어나, 재질은 물론 배출 방법까지 함께 적힌 직관적인 아이콘으로 바뀌었습니다.
예를 들어 혼합재질의 경우 '일반쓰레기' 또는 '분리수거 불가'라고 명확하게 기재되어 있어 소비자 입장에서 실수할 가능성이 현저히 줄어든 것이 특징입니다.
또한 제품에 QR코드가 함께 부착되어, 앱을 통해 바로 배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개선되었습니다.
재질별 분리수거 방법 총정리
분리수거는 재질별로 정확히 구분해야 재활용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재질별 분리수거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플라스틱: 페트병, 샴푸통 등은 세척 후 라벨을 제거하고 압축하여 배출
- 종이류: 상자, 노트는 테이프를 제거한 뒤 접어서 배출
- 비닐류: 과자봉지, 라면포장지 등은 내용물을 비운 후 비닐류로 배출
- 유리병: 병뚜껑을 제거하고 내용물을 비운 후 배출
- 금속류: 캔류는 씻어서 배출하고, 철뚜껑은 따로 모아 배출
이 기준을 따르면 재활용업체의 처리 효율이 높아지고, 잘못된 분리배출로 인한 비용 낭비도 줄일 수 있습니다.
혼합재질 제품, 어떻게 배출해야 할까
혼합재질은 분리수거 중 가장 헷갈리는 항목 중 하나입니다.
겉보기엔 종이처럼 보여도 내부에 비닐이 붙어있거나, 플라스틱과 알루미늄이 함께 있는 포장재의 경우, 기존에는 혼란이 많았습니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재활용 어려움 표시제’를 도입해 혼합재질에는 ‘분리수거 불가’ 문구를 명확히 표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런 표시가 있다면 일반쓰레기로 배출하셔야 합니다.
QR코드와 앱으로 분리배출 정보 확인하기
제품에 부착된 QR코드를 활용하면 해당 제품의 정확한 분리배출 방법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내손안의분리배출’ 앱과 연동되어 작동되기 때문에, 앱을 설치해두면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품에 따라 지역별 배출 방식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QR코드와 앱의 조합은 매우 유용합니다.
올바르지 않은 분리수거, 과태료 대상입니다
2025년부터는 지자체마다 분리수거 단속이 더 강화되고 있으며, 주요 위반 행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 이물질이 묻은 플라스틱을 그대로 배출
- 종량제 봉투 없이 일반쓰레기를 무단 배출
- 분리수거 불가 품목을 함께 배출
이와 같은 위반 행위는 최소 10만원, 최대 30만원까지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내손안의분리배출 앱 주요 기능
‘내손안의분리배출’ 앱은 환경부와 지자체가 함께 만든 공식 무료 앱입니다.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 AI 이미지 인식으로 제품 촬영 시 자동 재질 인식
- 거주지 등록 후 수거일정 및 지역별 배출방법 제공
- 배출 이력 확인과 교육 콘텐츠 제공
이 앱은 설치만 해도 생활 속에서 자주 헷갈리는 부분을 쉽게 해결할 수 있어, 한 번 익숙해지면 계속 쓰게 되는 유용한 도구입니다.
분리배출표시 없는 제품은 어떻게 처리하나요?
표시가 없는 제품이라면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첫째, ‘내손안의분리배출’ 앱을 통해 재질을 인식하고 배출 방법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둘째, 정확한 정보를 알 수 없다면 일반쓰레기로 배출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괜히 섞어 버리면 오히려 전체 재활용품의 품질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앱 사용 시 데이터가 꼭 필요한가요?
앱은 기본적으로 오프라인 기능도 탑재되어 있어, 대부분의 기능은 인터넷 없이도 사용 가능합니다.
다만 QR코드 인식이나 지역 맞춤 정보 확인 등의 실시간 기능은 데이터 연결이 필요합니다.
분리수거 습관이 바뀌면서 생긴 일상 속 변화
예전에는 단순히 플라스틱과 종이를 구분하는 정도로만 분리수거를 해왔습니다.
그러다 어느 날 종이 포장지에 테이프를 제거하지 않고 버렸다는 이유로 주의를 받게 되면서, 본격적으로 분리수거 방법을 다시 공부하게 됐습니다.
이후 '내손안의분리배출' 앱을 설치하고 제품마다 재질과 배출 방법을 확인하는 습관이 생겼고, 아이들에게도 함께 교육하면서 분리배출에 대한 관심이 커졌습니다.
요즘은 제품을 구매할 때도 얼마나 분리배출이 쉬운지 기준으로 포장재를 살펴보게 되었고, 결과적으로 생활 속 쓰레기 양도 줄어들었습니다.
결론: 분리배출표시 이해는 더 나은 환경을 위한 첫걸음입니다
분리배출표시를 이해하고 올바르게 실천하는 것은 단순히 개인의 습관 문제가 아니라, 지속가능한 환경을 만드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2025년부터는 더욱 명확하고 실천 중심으로 개편된 표시제도가 도입되었으니, 여러분도 지금 이 글을 계기로 앱을 설치하고 바로 실천에 나서보시길 권합니다.
분리배출표시 가이드북 및 분리수거 방법 총정리 2025 (+ 내손안의분리배출)
분리배출표시 가이드북 및 분리수거 방법 총정리 2025 (+ 내손안의분리배출)
분리배출표시 가이드북 및 분리수거 방법 총정리 2025 (+ 내손안의분리배출)
#분리배출표시가이드북
#분리수거방법
#내손안의분리배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