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 최근 건강보험료 고지서를 보고 깜짝 놀라셨나요?
저도 맞벌이 가구인데, 작년 말부터 건강보험료가 27만 원이 넘게 나와서 "우리가 정말 상위 10%?"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 맞벌이 가구의 건강보험료 상위 10% 기준과, 제대로 알지 못하면 놓치기 쉬운 건강보험료 절감 전략까지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2025 건보료 상위 10% 기준은 얼마일까?
2025년 기준, 월 27만 원 이상 건강보험료를 납부하면 상위 10%에 해당합니다.
이는 연봉 약 6,600만 원, 월 소득 550만 원 수준의 직장가입자 기준입니다.
하지만 이 금액은 단순히 소득만이 아니라, 재산, 자동차, 금융자산 등도 포함되어 산정되므로 특히 지역가입자는 더 많은 보험료를 부담할 수 있습니다.
맞벌이 가구가 상위 10%에 더 쉽게 포함되는 이유
맞벌이 가구는 소득 합산으로 건강보험료가 산정되기 때문에, 단일 소득자보다 상위 구간에 쉽게 진입합니다.
- 부부 모두 직장가입자: 각자 보험료가 부과되지만 합산 시 부담이 큼
- 한 명이 지역가입자: 소득 + 재산 + 자동차까지 포함되어 건보료 급등
▶ 예시: 직장인 남편 + 프리랜서 아내 → 아내가 지역가입자로 등록되면 월 18만 원 이상 건보료 발생
직장가입자 vs 지역가입자, 보험료 산정 차이
구분 | 직장가입자 | 지역가입자 |
기준 | 월급 (소득 기준) | 소득 + 재산 + 자동차 + 금융자산 |
부담 주체 | 회사 50%, 본인 50% | 본인 100% |
보험료 수준 | 상대적으로 일정 | 변동성 크고 고액 부과 가능 |
지역가입자일 경우 소득 외에도 많은 항목이 반영되어, 같은 소득임에도 더 많은 건보료를 낼 수 있습니다.
피부양자 등록, 보험료 절약의 핵심 전략
▶ 맞벌이 가구인데도 피부양자 등록이 가능할까?
가능합니다. 아래 조건을 만족하면 건강보험료를 '0원'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피부양자 등록 조건 (2025년 기준)
- 근로소득 연 3,400만 원 이하
- 사업·임대·이자·배당소득 연 1,000만 원 이하
- 자동차, 부동산 가액 기준 충족
📌 실전 사례:
프리랜서 아내가 지역가입자로 매달 18만 원 납부 중 → 공단에 문의 후 피부양자로 전환 → 보험료 ‘0원’ 달성!
건강보험료 줄이는 실질적인 방법 3가지
- 소득 적은 배우자 피부양자 등록
- 건보공단에 보험료 재산정 요청 (차량 처분, 부동산 매각 등 반영)
- 연말정산 시 건강보험료 세액공제 항목 꼼꼼히 확인
건보료 상위 진입 시 불이익, 놓치면 손해
상위 10%에 포함되면 단순히 건보료 부담만이 아닙니다.
- 출산장려금, 청년 주택자금 지원 제외
- 영유아 건강검진 혜택 축소
- 교육비·장려금 관련 세액공제 제외 가능성
▶ 중산층 맞벌이 가구는 실제 체감되는 정부 혜택 손실이 상당합니다.
결론: 보험료 문제는 정보가 해답입니다
건강보험료 상위 10%는 단순히 연봉이 높아서가 아니라, 소득 구조와 자산 배치에 따라 달라집니다.
2025년 지금, 여러분도 본인의 건보료 산정 기준을 다시 점검하시고, 가능한 절세 전략을 적극 활용해보세요.
모르면 매달 수십만 원이 날아가지만, 알면 수십만 원을 지킬 수 있습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 건보료 재산정 신청 방법, 피부양자 신청서 양식이 필요하시면 댓글로 남겨주세요.